'전국 1호’ 코호트 격리
서린요양원 38일의 사투

지난해 2월 전국 1호 코호트 격리시설이 된 경북 경산 서린요양원.요양원에서 8명의 어르신이 코로나로 세상을 떠났다.

부산일보 DB

38일간의 사투. 소리 없이 찾아온 코로나는 모두를 절망으로 빠뜨렸다.
아흔이 넘은 나이에 춤사위를 즐기던 할아버지, 조기를 좋아하셨던 할머니, 아들을 유독 기다렸던 어르신까지.
요양원 어르신들이 차례로 세상을 떠났다.
코로나와 사투를 벌인 간호사, 요양보호사들에겐 ‘전국 1호 코호트 격리’란 낙인이 찍혔다.

갑작스러운 단절

지난해 2월 15일 요양보호사 김 모(61) 씨는 퇴근한 뒤 친구와 사우나에 갔다. 사우나에서 반나절을 보냈고 열흘 뒤 온몸에 열이 났다. 그 무렵, 경산시 보건소에서 전화가 왔다. "밀접접촉자입니다. 코로나19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다음날 김 씨는 선별진료소를 찾았다. 그러고 이틀 뒤 28일 코로나 확진자가 됐다. 사우나를 함께했던 친구로부터 코로나에 감염된 것이다.

김 씨는 자신이 일하는 경산 서린요양원에 전화해 연신 "죄송하다"는 말만 쏟아냈다. 수화기 너머 김 씨의 얘기를 듣던 심묘락(59) 간호부장은 아득했다. 할 수 있는 일도, 해줄 말도 없었다. ‘우리한테도 올 것이 왔구나.’ 어디까지 퍼졌을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머릿속이 새하얘졌다.

그때는 N95 마스크도 KF94 마스크도 없었습니다.이 가운을 입고 덴탈 마스크를 하고 일회용 폴리글러브를 끼고 일을 했었습니다.이러다가 직원과 어르신을 놓치거나 전체가 다 감염이 되면 어떡할지최대한 빨리 감염을 차단해야겠다는 그 생각 외에는 다른 생각이 없었어요.

2020년 2월 28일. 서린요양원은 세상과 단절됐다. 전국에서 최초로 코호트 격리가 내려졌다.
안에 있는 사람도 나오지 못하고 밖에 있는 사람도 들어가지 못하는 코호트 격리.
김 씨와 접촉한 사람은 요양원 구조상 특정하기 힘들 정도로 많았다.
코호트 격리 이틀째. 김 씨와 같이 통근버스를 탔던 요양보호사 3명이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
김 씨와 접촉한 어르신 15명을 추정해 한 공간에 모았다. 선뜻 나서는 요양보호사들이 없어 유일한 간호사인 심 부장이 혼자 어르신들을 돌보기로 했다.

“혼자 15명 가까이 되는 어르신들을 돌보는데, 여기서 무너지면 우리 모두 코로나에 걸릴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들더라고요”

제대로 된 마스크도 없었다.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요양원 어르신들에게 방역 수칙 준수를 기대하기란 쉽지 않았다. 심 부장은 덴탈 마스크와 일회용 장갑에 몸을 맡겼다.
그렇게 이틀, 사흘 어르신들을 먹이고, 씻기고 마스크를 써야 한다고 교육했다. 자고 나면 까먹을 걸 알지만 마스크만이 심 부장의 유일한 보루였다.
PCR 검사 결과를 기다리는 어르신들 눈에서는 초조함이나 불안함은 느껴지지 않았다. 어르신 대부분은 코로나의 존재를 인식할 정도의 인지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예고 없는 이별

보건소에서 전화가 오거든요. 전화오면 정말 가슴이 덜컥 내려 앉아요.주민등록번호와 뭐 그런거를 불러 달라고 이야기했어요.그때 새벽에 전화를 받고 짐작을 했었죠. 돌아가셨구나.

지난해 3월 27일 새벽에도 반갑지 않은 전화가 울렸다. 당직을 서고 있던 심 부장은 숨을 가다듬고 전화를 받았다.
수화기 너머로 보건소에서 94세 어르신 2명의 주민등록번호와 보호자 연락처를 물어왔다. 두 어르신은 같은 방에서 생활하다 함께 코로나에 걸려 김천의료원으로 이송됐다.
주민등록번호와 보호자 연락처를 묻는다는 건 사망했다는 암묵적 부고다. 코로나의 최전선에서 고생하는 처지를 서로 알기에, 언젠가부터 전화 너머로 언제 어떻게 돌아가셨는지를 묻지 않는다.

정 할아버지는 못추는 춤이 없으셨다.

그림=성유진 작가

그날 코로나가 하늘로 데려간 정 모(94) 할아버지는 못 추는 춤이 없는 요양원의 멋쟁이였다. 요양보호사들은 정 어르신과 함께 지르박, 차차차 추는 날을 손꼽아 기다렸다. 매일 새벽 4시에 일어나 팔굽혀펴기를 하고 요양원 거실을 몇 바퀴씩 돌았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작년 3월 초, 정 어르신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는 소식에 요양원은 모두 충격에 빠졌다. 건강했던 같은 방 이 모(94) 어르신도 코로나를 피할 수는 없었다. 코로나는 요양원 내에서 건강한 사람, 아픈 사람을 가리지 않고 퍼져나갔다.

이 할아버지는 박카스를 좋아하셨다.

그림=성유진 작가

‘꽃분이 할머니’는 대가족이었다. 80대 중반을 넘긴 아들, 50대 후반의 손자, 30대 증손자까지 4대가 자주 요양원에서 만났다. 큰며느리는 할머니 생신날이면 조기를 손수 구워와 절을 올렸다. 항상 고맙다고, 잘 먹었다고, 작은 몸으로 할머니는 며느리에게도 요양보호사에게도 고개를 숙이셨다.

지난해 3월 코로나에 감염돼 포항의료원에 가셨던 꽃분이 할머니는 107세 나이에도 회복해 요양원으로 돌아오셨다.
석달만에 돌아온 할머니는 방긋 웃었다. 하지만 컨디션은 예전 같지 않으셨다. 2주 뒤 할머니는 저녁 식사를 마치고 잠자리에 든 뒤 깨어나지 못했다. 꽃분이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던 날 요양원 식구들은 한마음으로 기도했다.
“천국에서 할아버지랑 기쁘게 해후하셔요. 시설에서 외롭게 계시던 마음 푸시고요.”

세상을 떠난 어르신들은 서린요양원 직원들의가슴 속에 영원히 남았다.

그림=성유진 작가
끝나지 않은 격리

코로나는 새로운 일상이 됐다. 서린요양원은 38일간의 코호트 격리가 끝나고 일상을 되찾았다. 하지만 세상은 완전한 ‘격리 해제’를 허락하지 않았다.

차에 보면 서린요양원이라고 시설 이름이 적혀 있어요.차를 타고 병원을 간다거나 약을 타러 가면 주차도 못하게 해요.어디 코로나 걸린 차를 갖다가 여기 주차를 하느냐고. 차를 가져가라고 야단야단하시고.

코호트 격리가 끝난 뒤에도 요양원에는 배달이 잘 되지 않았다. 코로나 확진자가 나온 곳이란 이유에서다.
한편으론 이해가 됐지만, ‘눈에 보이는 차별’은 점점 상처가 된다. 지인들이 보내온 마스크, 손소독제 같은 방역 물품도 요양원에 곧바로 닿지 않았다.
택배 기사는 요양원에서 꽤 떨어진 거리에 물건를 두고 갔다. 어르신들 외래 진료를 위해 대구에 있는 병원에 갔을 땐, 주차를 하고 병원 현관에 들어서자 전화가 왔다.

“거기 코로나 확진자 무더기로 나온 데 아니에요? 당장 차 빼세요!”

가족 면회가 제한되면서 어르신들의 기억 속에 자식이라는 존재는 시나브로 사라지고 있다. 만남이 끊어져 까먹어버린 자식들의 이름은 쉬이 되살아나지 않는다.

“면회도 칸막이 너머로 자유롭게 되고 어르신들과 함께 노래도 부르는 그런 세상이 다시 왔으면 좋겠습니다. 어르신들이 여생을 조금이나마 행복하게 보내게 해드리고 싶어요.”

요양원 식구들은 코로나가 종식돼 어르신들이 밝은 모습으로 여생을 마칠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란다.

서린요양원 제공

코로나와의 완전한 이별은 요원한 오늘, ‘서린 용사들’은 코로나와의 작별을 바라고 또 바란다.

김준용 기자 jundragon@busan.com

더 많은 스토리를 확인하세요.

[늦은 배웅] 1화

전화 한 통이 마지막... 한 줌 재로 만난 어머니

[늦은 배웅] 2화

누나만 찾다 하늘로… ‘광주 891번’ 숫자로 남은 동생

[늦은 배웅] 3화

아빠 뼛가루에 대고 “사랑한다”고 말했어요

[늦은 배웅] 4화

마지막 항해였는데.. 아들 품에 안겨 돌아온 남편

[늦은 배웅] 5화

코로나 검사만 14번... 막내아들과의 이른 작별

[늦은 배웅] 6화

"외할머니 얼굴도 못보고" 코로나에 빼앗긴 작별인사

[늦은 배웅] 7화

'전국 1호’ 코호트 격리 서린요양원 38일의 사투

[늦은 배웅] 8화

"요양병원에 계셔 얼굴도 못보고" 코로나에 빼앗긴 작별 인사

[늦은 배웅] 9화

'제2, 제3의 코로나'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늦은 배웅] 10화

"마지막을 '아픔'으로 기억하지 않길" 유가족 위로하는 예술가들

COPYRIGHT (C) 2021 부산일보사 ALL RIGHTS RESERVED